안녕하세요, Ovadix입니다.😎 오늘은 'SnapShot'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투표가 진행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 SnapShot 이란?
snpashot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제안이나 의견을 투표할 수 있는 tool입니다. 그래서, 많은 프로젝트들이 snapshot안에서 공공의 목적을 위한 투표를 진행합니다. web3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사람들은 snapshot을 본적이 있거나 사용해 본적이 있을거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렇다고 처음보는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tool이 아닙니다. 투표만 진행하는데 있어서 투표권을 가지고 투표만 진행하면 되기 때문이죠.
📥 snapshot은 어떤 방식으로 투표가 진행될까?
메타마스크로 지갑을 연동 후 아무 제안이나 들어가 투표를 눌러보면 나의 투표권이 존재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즉, 아무나 투표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프로젝트에 참여해서 활동을 하면 투표권이 존재할 확률이 꽤 높습니다. 여기서, 투표를 누르게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사람들은 투표 자체가 토큰을 보내는 행위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DAO에서는 토큰을 전송하지 않고 대신 sign만 유도하게 되어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모든것들은 어디에 저장이 될까요? 바로, IPFS(분산저장소)로 저장됩니다.
👂 snapshot의 저장방식
모든 정보들을 ipfs에 저장후 DB 저장되는 방식인것 같습니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graphql과 ipfs를 사용하는 점에서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Defi, NFT, DAO, Web3.0 등 자신이 관심있는 주제로 자신의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싶은 분이면 누구나 환영합니다!🙌 공유하고 피드백 하면서 함께 성장 해 봐요!🚀
💌E-mail💌: dokkaebi.dao@gmail.com
🤙 정리
DAO를 너무 간략하게 설명해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도 있을거라고 생각하는데요, 본 글을 통해 DAO 투표기능에 대해서 조금 더 유연하게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도 투표기능은 토큰을 전송하고 받는 행위로만 인지하고 있었는데, shapshot을 천천히 뜯어보면서 생각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snapshot을 이용하면서 토큰을 전송하지 않는 행위에 대해서 궁금한 독자와, DAO 기능 툴을 개발하려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기를 바랍니다!💕
본 자료는 투자 권유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라는 점 말씀 드리며, 크립토 및 web3 이해를 돕기 위한 각종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 자료는 DOKKAEBI DAO 멤버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무단 도용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본 자료에 대한 이용 등 기타 문의사항 발생 시, 하단 메일로 전달 주시기 바랍니다.